HR Basic37 [HR Basic 평가 #6] 평가 프로세스 인사 평가의 단계 별 프로세스 첫 단계는 회사 전체와 업무에 어떤 특징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다. 여기에서 확인되는 내용에 따라서 제도를 변경하거나 필요하다면 새로운 제도를 도입할 수도 있다. 문제가 되는 사항이나 고려해야 할만한 특징을 가능한 많이 확인하고 검토해야 한다. 평가 도구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업의 특성, 경영 환경, 팀의 특징, 평가에 대한 인식, 현재의 평가 운영 현황 등을 확인하는 단계이다. 두 번째는 평가 제도를 구조화 하는 단계로 평가 방법을 결정해야 한다. 평가의 방법론으로 성과, 역량, 다면 평가 중에서 어떤 것들을 포함할 것인지 결정하고, 방법론 별로 평가의 일정 및 대상을 정한다. 이 외에도 평가의 대상이나 결과가 어떤 제도들과 연계가 될지 결정 되어야 한다. 이 내용들은 평.. 2024. 2. 23. [HR Basic 평가 #5] 평가의 공정성 공정성은 인사 평가 전반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평가의 대상이 되는 구성원이 인사 평가가 공정하다고 생각하게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평가의 일부가 아닌 모든 프로세스에서 공정하다고 받아들여 져야 한다. 평가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충족되어야 하는 몇가지 요소가 있다. 첫 번째 요소는 적절성이다. 타당성은 정확히 평가하고자 했던 항목에 대해서 확인 했는지이다. 평가 프로세스의 계획 단계에서 그 대상을 정확히 선정을 해야 한다. 목표 달성을 위한 KPI가 타당하게 설정 되었는지, 각 KPI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가중치가 적절한지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이것을 다른 구성원의 지표와도 비교를 하고 조정하는 단계가 필요하다. 그렇지 않다면 계획 단계부터 공정성이 확보되지 않았다고 생각할 수 있게 된다. .. 2024. 2. 23. [HR Basic 평가 #4] 평가의 이해 1. 모두의 관심을 받는 평가 평가는 회사의 모든 구성원들이 관심을 갖고 있는 주제이다 평가 제도가 존재하는 회사라면 직책에 상관없이 어떤 형태로든 평가의 대상이 되기 때문이다. 내가 평가의 대상이 되기 때문에 관심이 있지만 평가의 결과가 회사의 여러가지 제도와 연결 되기 때문에도 관심을 갖게 된다. 특히 연봉이나 승진 같은 HR 제도와 직접적, 간접적으로 연관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평가 진행 과정과 최종 결과에 관심을 갖게 된다. 평가의 기준이 합리적으로 만들어지고 평가의 프로세스가 안정적으로 진행 되었다고 하더라도 평가 결과에 대해서 모든 사람들이 만족하는 것은 어렵다. 평가 결과는 상대적이기 때문에 다른 구성원과의 비교하게 되고 결과에 대해 개인 별로 다르게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평가 결과에.. 2024. 2. 20. [HR Basic 성과 관리 #7] KPI 결정의 기준 1. 직무에 따른 KPI . 직무 분류를 통해 KPI, 조직 차원의 업무에 따른 KPI 그리고 업무 프로세스에 따른 KPI가 있다. 직무 분류를 통해 나오는 KPI는 구성원들이 이해하기 쉬운 방법이다. 직무를 구분하는 별도의 기준이 있다. HR 직무가 있고 이 직무에서 수행하는 업무들이 있다. 이 업무가 완성도 있게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서 어떤 사항들에 집중을 해야 할지 정한다. 이 때 집중하는 요인들을 지표화 하여 관리하는 것이다. 신입사원 모집의 지원율은 어떻게 되었는지 현재원들의 퇴사율은 어떻게 되는지 등을 통해서 핵심 성공 요인의 현광이나 결과를 관리하게 된다. 직무에 포함되는 업무를 통해서 KPI가 선정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이해하기가 쉽다. 단점은 현재 수행하고 있는 업무에 중점을 두는 방법것이.. 2023. 10. 20. [HR Basic 성과 관리 #6] BSC MBO OKR 1.성과 관리 방법론의 적용 성과 관리를 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어떤 방법을 사용하더라도 KPI라는 핵심 성과 지표를 통해서 관리가 된다. 최근에 많이 적용되는 OKR 방법론은 KPI를 다루지 않지만 대부분의 성과 관리 방법론에서는 KPI가 활용된다. KPI를 직접 정하거나 CSF라는 핵심 성공 요인을 통해서 도출될 수도 있다. CSF에는 어떤 요인들이 있고, 어떤 KPI를 선택한 이유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CSF(Critical Success Factor)는 주요 성공 요인으로 기업 또는 개인이 성공하기 위해 반드시 수행해야 화는 핵심적인 요소를 뜻한다. KPI(Key Performance Indicator)는 핵심 성과 지표로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핵심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 2023. 10. 20. [HR Basic 성과 관리 #5] 성과 관리의 주요 방법론 1.성과 관리 시작 모든 회사는 어떤 형태로 든 성과 관리를 한다. 그러나 모든 회사에서 직원 개인 단위의 성과 관리를 진행 할지는 회사마다 다르다. 그리고 한다고 하더라도 방법은 회사마다 다르다. BSC, MBO, OKR 등이 방법에 해당하는 것이다. 회사에서는 목표만 제시를 하고 방법에 대해서는 부서 별로 다르게 할 수 있다. 우선 방향성이 정해져야 한다. 명확한 방향성이 정해지고 나면 회사 내외부의 환경, 미션과 비전 그리고 목표를 정확히 알아야 한다. 그 후에 회사가 어떤 부분에 집중을 해야 하는지 확인하고 결정해야 한다. 예를 들어서 Sales 조직에서 성과 관리를 할 때, 매출, 순이익 등이 중요한 지표이다. 그런데 고객 대상 제안의 횟수나 확보한 고객의 규모가 성과 관리의 기준으로 정하게 된.. 2023. 9. 24. 이전 1 2 3 4 5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