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 평가의 단계 별 프로세스
첫 단계는 회사 전체와 업무에 어떤 특징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다. 여기에서 확인되는 내용에 따라서 제도를 변경하거나 필요하다면 새로운 제도를 도입할 수도 있다. 문제가 되는 사항이나 고려해야 할만한 특징을 가능한 많이 확인하고 검토해야 한다. 평가 도구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업의 특성, 경영 환경, 팀의 특징, 평가에 대한 인식, 현재의 평가 운영 현황 등을 확인하는 단계이다.
두 번째는 평가 제도를 구조화 하는 단계로 평가 방법을 결정해야 한다. 평가의 방법론으로 성과, 역량, 다면 평가 중에서 어떤 것들을 포함할 것인지 결정하고, 방법론 별로 평가의 일정 및 대상을 정한다. 이 외에도 평가의 대상이나 결과가 어떤 제도들과 연계가 될지 결정 되어야 한다. 이 내용들은 평가에 대해 구성원 들에게 안내될 영역에 포함되어야 하는 내용이다.
다음은 평가 제도의 운영 단계이다. 우선적으로는 목표를 수립 해야 한다. 목표에는 회사, 팀, 개인의 목표가 있다. 회사의 목표에서 시작하여 회사의 특징에 따라 팀 또는 개인의 성과 설정까지 한다. 회사의 목표는 경영 계획을 담당하는 조직에서 설정 한다. 팀이나 개인의 목표는 팀장, 구성원들이 참여하여 설정, 확인, 수정의 단계를 거쳐서 최종 결정을 한다.
다음은 평가 제도에 대한 교육과 안내 단계이다. 평가 제도의 목표와 운영 방식, 기준 등 모두가 알아야 하는 내용에 대해서 공유를 해야 한다. 그리고 목표의 설정과 단계 별로 상황을 확인하고 피드백을 위한 팀장에 대한 교육이 진행 되어야 한다. 전체 프로세스 중에서 어느 지점에 문제가 있는지 지속적으로 확인을 해야 한다. 팀장이 목표에 대해서 논의하는 과정이 매우 중요하다. 평가 제도의 성패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팀장이다.
평가 제도의 전체적인 운영 시에는 인사 담당자의 역할이 중요하다. 각 단계별로 리더, 구성원이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지 안내를 하고 이슈가 되는 사항은 없는지 확인해야 한다. 그리고 평가 제도에 대한 피드백을 통해 개선을 해나가야 한다.
성과 지표, 목표치, 가중치
평가의 계획 단계에서 기준이 되는 지표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목표를 설정한다. 지표가 두 가지 이상인 경우에는 지표별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지표별로 별도의 가중치 없이 동일한 중요도를 설정할 수 있지만 지표들 중에서 우선 순위가 있을 확률이 높다. 이것을 제대로 수립하지 않으면 결과 확인 단계에서 문제가 된다. 구성원은 본인에게 유리할 수 있도록 목표 수준을 낮게 정하거나 쉬운 지표를 우선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누군가는 회사의 목표를 위해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난이도와 무관하게 가장 중요하다고 파단되는 지표에 가중치를 높게 설정할 수있다.그렇게 때문에 검토와 수정하는 단계는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계획 단계에서 설정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결과의 확인과 활용 단계에서 어려움이 생긴다. 인사 평가가 형식적으로만 운영이 되거나 되거나 결과 활용이 어렵게 되지 않도록 첫 단계부터 공정성이 확보되어 구성원의 신뢰와 함께 시작되어야 한다.
구성원들이 평가에 대한 오해
팀 리더가 평가를 통해서 구성원을 관리하고 통제하려고 수단으로만 보는 것이다. 팀 리더 역시 그 위의 누군가에게는 평가의 대상이 된다. 팀 리더가 보유한 통제와 관리의 수단이라고 바라보기 보다는 평가에 대한 책임이 있는 것이라고 보는 것이 정확하다. 리더의 권한 보다는 목표 달성을 위한 책임의 영역인 것이다. 다음으로 구성원 사이의 경쟁 유도를 하는 도구로 생각할 수 있다. 팀 단위서 10명 또는 20명에 대해서 라면 평가 프로세스의 존재 여부와 무관하게 평가를 할 수 있다. 평가는 과정의 관리와 구성원의 동기 부여를 하는 것이 우선적이지 경쟁을 유발하려는 것은 우선순위에 없다. 동일한 업무를 하는 조직에서는 경쟁은 평가 제도가 없더라도 존재하게 될 것이다. 최근 상대평가에서 절대 평가로 평가의 기준을 변경하려는 경향이 있다. 절대 평가가 경쟁보다 동기부여에 보다 더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떄문 이라고 볼 수도 있다.
인사 평가의 목적 평가는 성과 관리의 한 부분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어떤 부분에서 장애나 문제가 있는지 확인하고 개선 하는 것이 목적이다. 목표에 대해서 계획한 대로 진행되고 그 결과를 도출해 나가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목표 수립이 잘 되었꼬 그것을 확인하는 체계가 적절하게 수립되었다면 성과 관리가 적절하게 진행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그리고 그 과정을 확인하고 개선을 위해 문제 지점을 찾기 위한 것이다. 개인 간의 경쟁이나 결과에 따른 보상에만 집중하지 말아야 한다. 잘못된 계획이 수립된다면 결국 부정적인 결과를 만들어내게 된다.
'HR Ba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HR Basic 평가 #8] 상대 평가와 절대 평가 (0) | 2024.05.15 |
---|---|
[HR Basic 평가 #7] 성과 평가, 역량 평가 프로세스 (0) | 2024.03.29 |
[HR Basic 평가 #5] 평가의 공정성 (0) | 2024.02.23 |
[HR Basic 평가 #4] 평가의 이해 (0) | 2024.02.20 |
[HR Basic 성과 관리 #7] KPI 결정의 기준 (0) | 2023.10.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