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4

ChatGPT for HR 강의 - 프롬프트 T실습 #2 KPI 만들기 실습 : KPI 만들기Prompt 1넌 HR컨설턴트로서, KPI 설계와 운영 전문가야. KPI 평가 기준을 만들어줘 조건회사의 직무는 관리직, 운영직, 영업직 이렇게 총 3개의 직무가 있어.회사 업종은 국제물류(포워딩)이야. GPT 답변국제물류(포워딩) 업종의 관리직, 운영직, 영업직에 대한 KPI 평가 기준을 설계하겠습니다. 각 직무별로 중요한 성과 지표를 설정하여 회사의 목표와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1. 관리직 (Management)관리직의 KPI는 회사의 전략적 목표와 전반적인 운영 효율성을 개선하는데 중점을 둡니다.KPI 평가 기준전략 목표 달성률: 회사의 연간 또는 분기별 전략 목표 달성률목표 설정과 성취 여부목표 달성률(%) = (달성한 목표 수 / 설정된 목표 수) * 100.. 2024. 6. 15.
ChatGPT for HR 강의 - 프롬프트 T실습 #1 면접 질문 주제 : 면접 질문 만들어보기  프롬프트 1 너는 인사담당자로써 면접 문항을 5가지만 만들어줘. 조건은 다음과 같아.직무 : 전산담당업무 : 보안프로그램 관리, 네트워크 관리, 하드웨어 관리, 소프트웨어 관리신입 채용 GPT 답변  1신입 전산 담당자를 위한 면접 질문을 아래와 같이 구성해 보았습니다. 이 질문들은 지원자의 기본적인 기술 역량과 문제 해결 능력을 평가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보안프로그램 관리 관련 질문:질문: 보안프로그램을 관리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가장 큰 보안 위협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며, 이를 어떻게 예방하고 해결할 수 있나요?의도: 지원자가 보안 위협에 대한 이해와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추고 있는지 평가합니다.네트워크 관리 관련 질문:질문: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했을 때, 문제를 .. 2024. 6. 15.
ChatGPT for HR 오프라인 강의 ChatGPT 어떻게 HR에 활용할 수 있을까?이런 고민을 하다가 혼자 스터디를 해보고, 외부의 이런저런 강의도 수강해 보면서내용을 정리하던 와중에 HRacademy을 통해서 'ChatGPT for HR' 주제의 강의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https://www.hracademy.co.kr/hracademy/service/hr/class_detail_info.do?sbjctNum=403&openNum=732 HR아카데미HR실천가의 성장과 연구를 돕는 러닝메이트로서 HR담당자의 전문 학습을 지원하는 그룹입니다www.hracademy.co.kr 강의 준비를 하면서 생각을 해보게 된 HR에 적용할 수 있는 프롬프트를 블로그를 통해공유를 해보고자 합니다. 그리고 강의 진행을 하면서 실습 과정을 통해서 모이게 .. 2024. 6. 15.
[HR Basic 성과 관리 #10] 평가 운영을 위한 평가 등급 정하기 평가 등급절대 평가는 평가의 기준선을 정해 놓고 성과를 매칭 시키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서 100점 만점을 기준의 평가에서 하고 S,E,A,B,C,의 5개 등급으로 나눈다고 한다면, 90점 이상이면 S평가, 80점 이상이면 E 평가를 받게 된다. 여기서 등급은 회사 별로 원하는 명칭으로 정하면 된다. 중요한 사항은 평가 등급을 몇 개로 분할하고, 등급 별 점수는 어떻게 정할지이다. 극단적으로는 점수 구간을 나누기에 따라서 모두가 S 등급이 될 수도 있고, 아무도 S등급이 되지 못할 수도 있다. S평가에 해당하는 인원을 줄이기 위해서 점수 구간을 95점 이상으로 정하거나, 성과 내기가 어려운 업무 영억에 대해서는 S등급을 80점 이상으로 정할 수도 있다. 하지만 매번 점수 기준을 바꾼다면 평가의 일관성, .. 2024. 6. 11.
[HR Basic 성과 관리 #9] 평가의 객관성을 보완해주는 다면 평가 다면 평가평가에는 다양한 방법들이 있다. 완벽한 평가 방법을 적용하는 것은 아마도 불가능에 가깝다. 다만, 회사에 가장 적합한 평가 방식을 선정을 하고 확인되는 단점을 개선해 나가는 방법으로 활용을 하는 것이 적합하다.리더에 의한 일방적인 평가의 한계를 벗어나기 위한 방법으로 다면 평가 방식이 있다. 다면 평가에서 팀원 평가를 한다면, 업무 수행의 과정 상에서의 장점과 개선점에 대해 리더, 동료 팀원, 타 팀원, 본인의 평가를 진행할 수 있다. 리더를 평가한다면 성과 결과에 대해서는 상위 임원이 할 수 있으며 리더십에 대해서는 동료 리더, 팀원, 본인의 평가가 진행될 수 있다. 이렇게 특정 항목에 대해서 다수의 평가를 받는 것이 다면 평가이다. 다면 평가라고 모든 항목에 대해서 다수에게 받지 않아도 되며.. 2024. 5. 15.
[HR Basic 평가 #8] 상대 평가와 절대 평가 절대 평가와 상대 평가평가 업무를 기획부터 활용까지 단계를 알아볼 것이다. 평가 기획의 내용은 방법론 설계부터 결과 활용까지의 내용을 평가 제도를 수립하는 단계가 기획이다.평가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평가 방식의 결정으로부터 시작된다. 평가 방식에도 세부적인 사항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가장 큰 구분이되는 절대 평가와 상대 평가 중에서 선택해야 한다. 각각의 평가를 여러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어떤 평가 방법이 더 좋은 방법이라도 정의하기는 어렵다. 어떤 평가 방법이더라도 구성원들이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도입한다면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절대 평가절대 평가는 사람과 기준을 비교하는 방식이다. 평가 결과를 S, E, A, B, C의 5단계로 구분한다고 할 때, 90점 이상이라면 S, 80점 이상이면 E라도 .. 2024. 5.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