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리더의 성과 관리 효과
리더는 회사의 여러가지 사항들을 관리해야 한다. 예를 들어 부서의 인력 충원이 계속해서 지체된다거나, 본인 조직의 역할이 명확하지 않아서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업무상 연결되어 있는 타 부서에서 지원을 해주지 않아서 업무 수행에 차질이 생길 수도 있다. 이런 문제들이 해결 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 문제가 생기면서 업무 효율을 떨어뜨리게 된다. 성과 관리를 하면 회사의 문제 사항들이 KPI나 성과의 요소를 기준으로 판단하게 되면 문제의 해결 방안에 대한 논의를 성과에 초점을 맞춰서 진행하고 대안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리더가 실무를 직접 할 수도 있지만 대부분의 시간을 실무자처럼 하는 것은 문제가 될 수 있다. 이것은 팀원들의 실무 경험이 적어지게 되어 실무자의 제한된 역량 향상이라는 결과를 만들게 될 수도 있다. 이렇게 된다면 성과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성과 관리 체계를 도입이 어려울 수 있다. 사전에 준비해야 하는 사항들이 많기 때문이다. 성과 관리 체계가 제대로 정착을 하면 일에 대한 선택과 집중을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다. 팀원들은 업무에 대한 명확한 인식이 가능하고 리더는 집중하고자 하는 일에 조금 더 집중을 잘 할 수 있게 된다.
2. 팀원의 성과 관리 효과
팀원이 업무상으로 힘들어 하는 대표적인 이유가 있다. 먼저 업무에 대한 권한과 책임이 어디까지 인지 정확하지 않을 때이다. 업무 결과나 과정에 대한 적절한 피드백이 없을 때, 업무에 대한 지원이 적절하지 않거나 어떤 지원을 받을 수 있는지 모를 때이다. 이런 불만의 사항들도 성과 관리 체계의 도입으로 어느 정도 해결될 수 있다.
업무 진행 시에 보고를 어디까지 해야 하는지, 내가 직접 결정할 수 있는 사항은 어디 까지인지 명확하지 않을 때 불만이 생길 수 있다. 성과 관리를 진행하면서, 리더와 팀원 간에 업무에 대한 소통이 자주 일어나게 된다. 진행은 잘되고 있는지, 진행 상의 어려움은 없는지 등에 대해 대화를 하게 된다. 성과에 어떤 이슈가 있는지 빈번하게 논의를 할 수 밖에 없고 그 과정에서 보고는 줄어 들고 나의 책임이 어디 까지 있는지 자연스럽게 정해지게 된다.
업무 과정과 결과에 대한 피드백도 자연스럽게 받을 수 있다. 일을 하면서 지금 잘하고 있는지 못하고 있는지 판단이 어려울 수 있다. 중간 과정에 대한 판단이나 평가를 요청하는 것이 눈치가 보일 수 있다. 성과 관리를 통해 계획과 과정 전반이 공유가 되고 필요한 것은 요청 할 수 있게 된다. 업무 수행을 위한 지원이 부족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적절한 지원을 받지 못할 경우, 성과에 악영향이 생기게 된다. 성과 관리를 통해서 팀원은 필요한 도움을 먼저 요청하거나 리더는 제공할 수 있는 지원을 먼저 제안할 수 있게 된다.
대부분의 구성원들은 소속한 팀에서 어떤 업무가 중요한지는 인지하고 있다. 하지만 단일 팀이 아닌, 업무가 연결되어 있는 다른 팀의 업무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인지가 부족할 수 있고 여기서 업무 진행 시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연구 개발, 영업, 구매, 법무 등 각각의 업무는 독립적이면서도 연결되어 있다. 각 조직의 업무는 잘 해결해 내지만 회사 전체의 관점에서는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 성과 관리 제도를 통해 조직 간의 업무 수행 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회사와 팀, 팀과 팀, 팀과 개인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구성원 개인의 입장에서는 성과를 못 내는 직원의 사유가 무엇인지 문제 지점을 찾기가 수월해 진다. 직무 교육이 필요한지, 리더의 지원이 필요한지, 업무 변경이 필요한지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성과 관리를 통해 구성원 개인이 업무를 하면서 어떤 것에 우선 순위를 두어야 하는지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해 주게 된다. 조직의 업무 비효율이 줄어들게 되고 성과를 보다 효율적으로 만들어 낼 수 있도록 해준다. 회사의 전 구성원이 성과 관리가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회사 내외부의 경영 환경 변화에도 적응을 보다 잘 할 수 있도록 해준다.
3. 성과 관리의 프로세스
성공적인 성과 관리의 시작은 계획 단계이다. 회사의 방향과 목표에 대해서 각 개인이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어떤 업무를 하는지, 그 업무를 왜, 어떻게 하는지, 업무 수행 시의 책임과 권한은 무엇인지를 포함하여 공유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개인의 의견을 개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음은 업무를 진행하면서 수행하는 내용에 대한 단계이다. 계획대로 진행 되는지 파악하고 관리하는 것이다. 형식에 제한이 있지는 않으며 진행 시의 문제 사항, 장애 요인, 아직 발생하지 않았지만 예상되는 위험 요인에 대해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공유의 과정에서 근거 자료를 만들어 놓는 것도 중요하다. 당장의 업무에 대해서만 논의를 한다면 별도로 정릴 해놓을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하지만 동일하거나 유사한 업무가 다음 해에도 반복되거나 연중 성과에 대해 확인이 필요할 때 모든 내용을 기억하고 있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관련된 모든 내용을 정리해 놓을 필요는 없으며 진행이 잘된 사항과 잘못된 사항에 대해 특이 사항을 정리해 놓고 향후 개선 포인트 및 피드백의 자료로 사용하면 된다. 전체 단계 중에서 업무 진행의 과정 관리에 소홀해 지기 쉽다.
평가의 직전에는 수행 업무 전반에 대한 면담이 필요하다. 설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과정을 확인하고 과정 상에서 문제는 어떤 것이었고 해결은 어떻게 했는지에 대해 확인한다. 업무 진행 시에 필요했던 사항이나 불합리했던 사항은 없었는지 등에 대해 공유 해야 한다. 리더가 각 개인의 업무와 관련하여 보다 정확한 내용들을 근거로 하여 평가를 할 수 있도록 해준다. 면담 과정 다음에 평가 단계가 진행된다. 마지막 단계는 평가 결과에 대해 최종적으로 확인하고 피드백을 주는 단계이다. 결과를 받아들이는지, 활용 예정인 사항은 무엇인지, 보완점은 무엇인지 등에 대해서도 함께 피드백을 주게 된다.
'HR Ba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HR Basic 성과 관리 #6] BSC MBO OKR (0) | 2023.10.20 |
---|---|
[HR Basic 성과 관리 #5] 성과 관리의 주요 방법론 (0) | 2023.09.24 |
[HR Basic 성과 관리 #3] 성과 관리의 일반적인 모델 (0) | 2023.09.22 |
[HR Basic 성과 관리 #2] 성과 관리 방향성과 기준 (0) | 2023.09.21 |
[HR Basic 보상 #1] HR 보상 제도의 기획시의 고려 사항 (0) | 2023.09.17 |
댓글